본문 바로가기
부가정보

TIL 24.06.19 ! 작업중 에러처리 튜터님 설명

by momomoo 2024. 6. 19.

 

status는 500이였고

 

이거 오류가 계속 떠서

 

디버깅 하는 방법 부터 배웠는데

 

에러를 보고 알 것 같으면 예상되는 부분을 먼저 찾아가고

 

모르겠으면 호출했을때의 시작점부터 분석하기

 

이건 로그인이였어서 시작점부터 차근히 순서대로 로직타고 읽어보기

 

에러 호출 부분을 유심히 보고 지금 발생한 에러가 걸릴 부분인지 확인하기

 

로직마다 담는 값이 뭔지도 보고

 

에러핸들러도 찾아보는데

에러 핸들러마다 담당하는게 다르니 그것도 파악해서 보기

 

자세한 에러 안찍히는데 이번에 에러핸들러에 console.log(err) 하니까 나왔다.

에러핸들러에서 잡힐만한 부분도 보기

 

 

 

에러 창에서 에러뜰때 어떤 에러인지도 읽어보고 

at ~ at이 시작점~끝점인데   >>>  스택트레이스 >> 에러 나온곳 역추적

 

끝에서부터 하나씩 살펴보기

 

 

 

익숙해지면 너무 다 뜯어보지 말고 예상되는 지점부터

 

 

 

 

========================================================================================

 

조언 받으면서 상담 vs화면 기억나는데로 캡쳐한것

 

에러보고 > 모르겠으니 호출부터 확인

 

 

먼저 호출 시작점부터 보고 주소부터 읽고 다음 signInValidator 이라 그 부분부터 가보고

 

 

api테스트를 했을때 이메일과 패스워드는 읽히고 둘 다 필수값이라 잘 넣었으니 다음은 컨트롤러파일 확인

 

 

 

 

이제 컨트롤러에 있는 파일도 보고 

 

 

 

여기의 if 에러는 현제와 관련없는 내용이니 서비스는 문제 없었고,  레포지토리가서

 

 

 

여기도 이메일 관련 부분이니 문제가 없을거라 파악 > 에러 내용과 다르다.

 

 

다시 3번째 const를 보면 accesToken, refreshToken이 있는데

 

 여기서 createAccessAndRefreshToken을 확인

 

 

 

 

여기에 함수안에 있는 createAccessToken과 createRefreshToken을 타고 갔다.

 

 

 

 

 

여기서 상담 전에 팀원분이 createAccessToken에 에러 나오나 확인했었는데

여기서는 안나왔어서 밑에꺼를 보고 저거에 필요한 값을 확인

REFRESH_TOKEN_SECRET 담당 부분을 보고 오류제거했다.

 

 

 

 

중반에 에러 if에러도 다보고 에러핸들러도 봤는데

 

 

 

이 부분에서 어디서 에러가 걸릴 것 같은지도 물어보셨다.

 

 

처음에는 api테스트에만 에러가 떴는데 여기에 console.log(err) 치니 에러 위치가 나왔었다.

 

 

만약 터미널에 에러가 잘 뜨면 끝점부터 타고 보면 될 듯도 하다. 

 

 

jsw도 말씀해 주셨는데 그것이 필요한 곳이 어딘지도 고민해보라고 말씀해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