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2

RESTful RESTful(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RESTful은 특정한 기술이나 프로토콜이 아니라 설계 원칙과 제약 조건을 따르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모든 API가 RESTful은 아니며, RESTful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설계 원칙을 따라야 합니다.### REST의 주요 설계 원칙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Client-Server Architecture)**: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서버는 데이터 저장 및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2. **스테이트리스 (Stateless)**:   - 서버는 각 요청을 독립적으로 처리.. 2024. 5. 24.
용어 로드(Loading): (읽기)데이터나 자원을 시스템의 메모리나 저장 장치로 읽어오는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거나, 웹 페이지의 자원을 클라이언트로 로드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파싱(Parsing): (해석) 데이터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를 파싱하여 문법적으로 유효한 구조로 분해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렌더링(Rendering): (출력)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그래픽이나 이미지, 웹 페이지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웹 페이지의 렌더링은 HTML, CSS, J.. 2024.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