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변수(`env`) 서버와 기본 설정(`default`) 서버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하는 방법도 다릅니다. 여기서 `env` 서버와 `default` 서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하고, 이 두 가지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 환경 변수 서버 (`env` 서버)
- **정의**: 환경 변수 서버는 특정 환경 변수 값에 따라 서버의 설정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사용 목적**: 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설정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예시**:
- **개발 환경**: 데이터베이스를 로컬에서 실행하고 디버그 모드를 활성화.
- **테스트 환경**: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로깅을 상세하게 설정.
- **프로덕션 환경**: 고성능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보안 설정을 강화.
- **구현 방법**: `.env` 파일이나 시스템 환경 변수 설정을 통해 값을 지정합니다.
```plaintext
# .env 파일 예시
DB_HOST=localhost
DB_USER=root
DB_PASS=password
NODE_ENV=development
```
### 기본 설정 서버 (`default` 서버)
- **정의**: 기본 설정 서버는 특정 설정이 명시되지 않았을 때 사용되는 기본값을 제공하는 설정을 의미합니다.
- **사용 목적**: 설정 값이 누락되었거나 잘못된 값이 입력된 경우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 **예시**:
-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가 환경 변수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기본값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 캐시 설정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기본 캐시 설정을 사용.
- **구현 방법**: 설정 파일이나 코드 내에 기본값을 하드코딩하여 설정합니다.
```javascript
const config = {
dbHost: process.env.DB_HOST || 'localhost',
dbUser: process.env.DB_USER || 'defaultUser',
dbPass: process.env.DB_PASS || 'defaultPass',
nodeEnv: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
### 결합 사용
두 가지 방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환경 변수(`env`)를 통해 설정을 받아오되, 환경 변수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기본 설정(`default`)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유연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코드
```javascript
require('dotenv').config(); // .env 파일에서 환경 변수를 불러옵니다.
const config = {
dbHost: process.env.DB_HOST || 'localhost',
dbUser: process.env.DB_USER || 'root',
dbPass: process.env.DB_PASS || 'password',
nodeEnv: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console.log('Database Host:', config.dbHost);
console.log('Database User:', config.dbUser);
console.log('Environment:', config.nodeEnv);
```
### 요약
- **환경 변수 서버**: 다양한 환경에 맞게 설정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으로, 환경 변수(`env`)를 통해 설정합니다.
- **기본 설정 서버**: 설정 값이 없거나 잘못된 경우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기본값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두 가지를 결합하여 환경 변수로 설정 값을 받고, 누락된 값에 대해서는 기본 설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동작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부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식문서 사이트 모음 (0) | 2024.07.01 |
---|---|
dev브랜치에 병합전에 통합 브렌치를 만들어서 작업하면 좋은 이점 (0) | 2024.06.23 |
리드미 작성시에 적을 것 (0) | 2024.06.22 |
TIL 24.06.19 ! 작업중 에러처리 튜터님 설명 (0) | 2024.06.19 |
더미 테스트 할때 체크해야 하는것 (0) | 2024.06.16 |